(중부시사신문) 강원특별자치도는 2026년 친환경 청정사업 추진을 위해 총 117억 원의 한강수계관리기금(이하 ‘기금’)을 확보하고, 사업 본격 추진을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친환경 청정사업은 수질오염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으로, 청정 수질 보전을 위해 개발 제한 등 불이익을 감수해 온 상류 지역 주민에 대한 정당한 보상의 취지에서 1999년 제정된 '한강수계 상수원 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추진되고 있다.
해당 기금은 하류 지역 주민이 부담하는 물이용부담금을 재원으로 하며, 상류권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환경 기반 산업 육성을 함께 도모하고 있다.
특히, 김진태 도지사가 제19대 국회의원 시절인 2012년 7월 대표 발의한 한강수계법 개정안을 통해 청정사업의 개념이 명확히 규정되고, 법적 근거가 강화됐으며, 기존 ‘환경친화적 청정산업’은 ‘친환경 청정사업’으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며 지원 대상과 사업 범위가 대폭 확대되는 계기가 됐다.
이러한 제도 기반 위에서 강원특별자치도는 2024년까지 총 2,223억 원 규모의 118개 사업을 추진, 한강수계 5개 광역지자체 중 최대 규모의 성과를 거둔 지자체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강원특별자치도는 2025년 기준 도를 포함한 8개 시군 14개 사업(총 117억 원 규모)을 추진 중이며, 지난해 12월에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의 강원 지역 중장기 운영계획을 수립해 연차별 투자계획과 사업 우선순위를 체계화한 바 있다.
이를 통해 기금의 효율적 배분과 사업 효과 극대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2026년에는 총 14개 사업이 추진되며, 계속사업으로는 춘천시 ‘북한강유역 산림 그린바이오 자원화 플랫폼 구축’, 홍천군 ‘항체산업 비즈니스센터 구축’ 등 12개 사업이 있으며, 신규사업으로는 인제군 ‘소양강 상류 수변공간 환경개선 및 자원화사업’, 원주시 ‘미래 청정산업 챌린지센터 구축사업’이 선정됐다.
윤승기 강원특별자치도 산림환경국장은 “친환경 청정사업은 단순한 환경 정화 차원을 넘어 강원특별자치도의 미래 경쟁력을 키우는 중요한 정책 도구”라며, “지역 균형 발전과 탄소중립 시대에 부합하는 지속 가능한 모델로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