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경기교육청



경기뉴스

경기도의회, ‘상임위원장 맞교대’ 조례로 명문화… 자율성과 예측 가능성 높인다

경기도의회가 상임위원장 임기 교체를 둘러싼 반복된 위법 논란을 제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조례 개정에 나섰다. 교섭단체 간 합의로 이뤄지는 ‘상임위원장 1년 맞교대’를 법적 절차로 명문화함으로써, 의회의 자율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김정호 경기도의회 의원(국민의힘, 광명1)은 최근 「경기도의회 위원회 구성·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의 핵심은 교섭단체 간 합의에 따라 상임위원장을 상호 교체하기로 한 경우, 기존의 별도 선출 절차 없이 본회의에 보고하는 것으로 갈음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현행 조례는 상임위원장 임기를 2년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지난 2024년 후반기 원구성 당시 여야 교섭단체가 ‘위원장 1년 맞교대’를 합의하면서 법적 근거 없이 교체가 시도돼 조례 무력화 비판이 제기됐다. 특히, “정치적 합의가 법을 무력화한다”는 지적과 함께, 선출 절차를 무시한 교체가 반복될 경우 지방의회 운영의 법적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김 의원은 “조례를 무력화하는 것이 아니라, 교섭단체 간 합의를 제도 안에 담아 충돌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라며 “의회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도 법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정비

경기도의회, ‘상임위원장 맞교대’ 조례로 명문화… 자율성과 예측 가능성 높인다

경기도의회가 상임위원장 임기 교체를 둘러싼 반복된 위법 논란을 제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조례 개정에 나섰다. 교섭단체 간 합의로 이뤄지는 ‘상임위원장 1년 맞교대’를 법적 절차로 명문화함으로써, 의회의 자율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김정호 경기도의회 의원(국민의힘, 광명1)은 최근 「경기도의회 위원회 구성·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의 핵심은 교섭단체 간 합의에 따라 상임위원장을 상호 교체하기로 한 경우, 기존의 별도 선출 절차 없이 본회의에 보고하는 것으로 갈음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현행 조례는 상임위원장 임기를 2년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지난 2024년 후반기 원구성 당시 여야 교섭단체가 ‘위원장 1년 맞교대’를 합의하면서 법적 근거 없이 교체가 시도돼 조례 무력화 비판이 제기됐다. 특히, “정치적 합의가 법을 무력화한다”는 지적과 함께, 선출 절차를 무시한 교체가 반복될 경우 지방의회 운영의 법적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김 의원은 “조례를 무력화하는 것이 아니라, 교섭단체 간 합의를 제도 안에 담아 충돌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라며 “의회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도 법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정비

경기도의회, ‘상임위원장 맞교대’ 조례로 명문화… 자율성과 예측 가능성 높인다

경기도의회가 상임위원장 임기 교체를 둘러싼 반복된 위법 논란을 제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조례 개정에 나섰다. 교섭단체 간 합의로 이뤄지는 ‘상임위원장 1년 맞교대’를 법적 절차로 명문화함으로써, 의회의 자율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김정호 경기도의회 의원(국민의힘, 광명1)은 최근 「경기도의회 위원회 구성·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의 핵심은 교섭단체 간 합의에 따라 상임위원장을 상호 교체하기로 한 경우, 기존의 별도 선출 절차 없이 본회의에 보고하는 것으로 갈음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현행 조례는 상임위원장 임기를 2년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지난 2024년 후반기 원구성 당시 여야 교섭단체가 ‘위원장 1년 맞교대’를 합의하면서 법적 근거 없이 교체가 시도돼 조례 무력화 비판이 제기됐다. 특히, “정치적 합의가 법을 무력화한다”는 지적과 함께, 선출 절차를 무시한 교체가 반복될 경우 지방의회 운영의 법적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김 의원은 “조례를 무력화하는 것이 아니라, 교섭단체 간 합의를 제도 안에 담아 충돌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라며 “의회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도 법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