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시사신문) 정부가 이달 말 30년만에 행정구역 체계를 개편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행정체제 개편위원회’를 출범 예정인 가운데, 김포서울통합이 본격 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행안부는 지난달 행정구역 체계를 개편하기 위한 특별위원회를 설치할 것이라 예고한 바 있으며, 서울시에서도 지난 15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편입을 요청해 온 지자체와는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는 것이 서울시 방침”이라 밝힌 바 있다.
김포시는 김포서울통합의 기준이 시민 일상의 편의 증진인만큼, 흔들림없이 추진해 나가겠다는 의지다. 김포시는 2022년부터 한 번도 서울통합에 대한 발걸음을 멈춰선 적이 없다.
한강 남쪽에 위치해 있으나, 서울과 연접해있는 김포시는 서울로의 출퇴근시 만성적인 교통 문제를 겪고 있다. 경기도 분도 추진과정에서 지리적 교류 없는 경기북도와 지리적으로 인접하지 않은 경기남도에 속할지 결정을 요구받았던 상황에서 시는 시민의 생활권인 서울로의 통합을 추진 중이다.
김병수 시장은 “행정권역의 구분은 시민을 위한 것이고, 최대한 일치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과거 기준으로 구분돼 관습적으로 이어온 행정권역 때문에 실제 시민들이 불편을 감내해야 할 이유는 없다. 김포시민 중 대다수는 거주지가 김포이고 생활권이 서울인 경우”라고 말했다.
서울생활권인 김포가 행정구역의 불일치로 생긴 불편을 바로잡는다는 것에 대해 행정전문가들도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최지민 박사는 “행정구역은 생활권 변화에 따라 사회경제적 여건에 부합하지 않고 있다. 주민 욕구가 다변화하고 고도화된 현재, 개별 지자체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민원이 급증하고 있다”며 “김포서울통합은 경기도 분도에 따른 소속 광역지자체에 대한 결정과 그간 지속적 정책 이슈로 지적된 교통과 생활권 불일치 문제를 구역변경이라는 수단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충분히 사례가 있기에 김포서울통합 역시 가능성 있는 이야기”라고 말했다.
국가경쟁력 향상을 도모하는 모멘텀이 될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도 눈에 띈다.
이강국 전 시안총영사는 한 매체의 기고를 통해 “서울은 북한산, 도봉산, 관악산 등 많은 산들이 주위를 에워싸고 있어 실제 가용면적은 60%에 불과하다. 여기에 이미 940만명이 거주하고 있어 포화 상태다. 반면 김포는 면적이 276,606㎢로 작지 않고 개발여지가 많다. 김포는 한강에 연접하고 바다까지 끼고 있다. 상하이 푸둥의 사례와 유사하게 김포가 서울에 편입되면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김포가 서울 옆에 있다는 것은 행운이다. 서울의 도시경쟁력 향상은 대한민국의 국가경쟁력과 직결된다”며 “김포의 서울편입은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국가 백년대계를 위해 적극 추진해야 할 사안이다. 소아적인 지역이기주의에서 벗어나 대한민국 경쟁력 향상의 새로운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