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시사신문) 고양특례시의회 신현철 의원(송포동·덕이동·가좌동, 환경경제위원회)은 최근 발생한 대형 산불 참사를 계기로, 고양시의 재난 대응 체계를 정면으로 점검하고, 보다 과학적이고 실질적인 대비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력히 제기했다.
신 의원은 28일 제274회 고양시의회 임시회에서 진행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기후 위기가 일상이 된 지금, 고양시도 더 이상 대형 재난의 안전지대가 아니다”라며 “준비되지 않은 행정은 결국 인재(人災)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신 의원은 경북·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수십 명이 희생되고 3,700여 채의 주택이 전소됐으며, 9만 헥타르에 이르는 산림 피해가 발생한 이번 참사가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선 국가적 재난이라고 안타까움을 표하며, 고양시 역시 북한산, 행주산성, 성사동, 고양동, 지축동 등 도심과 산림이 맞닿은 지역이 많아 인명 피해로 직결될 수 있는 구조적 취약성을 안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선제 대응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신 의원은 산불 대응의 골든 타임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화재 취약 산림지역 ‘중점 감시구역’ 지정 ▲지능형 CCTV 및 드론 활용 실시간 감시 ▲스마트 영상 분석 기반 원격 모니터링 체계 구축 등을 제안했다.
또한, 고령층과 취약계층을 고려한 맞춤형 대피 매뉴얼과 이동 지원 시스템, 비상 연락망 체계 구축의 필요성도 역설하며, “안내 수준을 넘어 실질적으로 작동 가능한 대피 체계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신 의원은 다가올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비해 송포·가좌 지역의 배수로 점검과 장월평천, 덕이천 등 주요 하천의 정비 실태를 철저히 확인하고, 장마 대비 수립계획의 실효성을 면밀히 재검토할 것을 촉구하며, “기후 위기가 상수화된 지금, 더 이상 ‘천운’에 기대는 수동적 대응은 안 된다”고 강하게 지적했다.
덧붙여 신 의원은 킨텍스, 고양종합운동장, 대규모 상업지구 등 인파가 밀집되는 일산서구에 현재 소방서가 아닌 ‘119안전센터’만 운영되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며, 인구 100만이 넘는 도시이자 특별한 소방 대책이 요구되는 지역에 소방서를 추가 설치하는 것은 현행 법령상 정당한 조치인 만큼, 독립된 소방서 설치를 위해 행정적 역량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신현철 의원은 “지금, 이 순간부터 화재·침수 등 재해 우려 지역에 대한 전면적인 점검과 함께, 실제 상황에서 작동 가능한 대응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며,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에는 그 어떤 명분이나 사유로도 타협이 있어선 안 된다”고 강조하며 발언을 마무리했다.